中国朝鮮語 文献案内

ここでは、中国朝鮮語に関する論文、書籍を紹介しています。 

 

①方言学、文法論

②延辺地域語

③遼寧省地域語

 

に関するものの他に、中国朝鮮語の基層方言として、

 

④咸鏡道方言/六鎮方言

⑤平安道方言

⑥黄海道方言

⑦東北方言

⑧西北方言 

 

に関する論考もリスト化しています。目下のところ(1)朝鮮語で書かれたもの、(2)方言形に関するものに限定しています。日本国内では参考文献リストがほぼ存在していないので、今後音韻論、言語政策、多言語使用に関する論文も充実させていきたいと思っています。なお、中には日本では入手できないものも含まれていることをお断りしておきます。

 

※一部、刊行地が書かれていない文献があります。近いうちに修正する予定です。


①方言学、文法論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1979)조선문화어문법평양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곽충구(2007)2007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 (1)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07)2007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 (2)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08)2008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09)2009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10)2010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 (1)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10)2010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 (2)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12)2012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전사 보고서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2013)2013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전사 보고서서울국립국어원

 

곽충구, 박진혁, 소신애(2008)중국 이주 한민족 언어 생활길림성 회룡봉서울태학사

 

곽충구, 소신애, 박진혁(2008)중국 이주 한민족의 언어와 생활경기태학사

 

김계곤(1984) 북한지역의 방언」『통일31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김덕모(1994a)조선말계칭에 대한 사회언어학적연구(1)동북36 촌을 중심으로중국조선어문70

 

김덕모(1994b)조선말계칭에 대한 사회언어학적연구(2)중국조선어문71

 

김동소, 최희수, 이은규(1994)중국 조선족 언어 연구」『한국전통문화총서대구효성여자대학 한국전통문화연구소

 

김동언(1999) 남북한 구어체 비교연구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인문과학논집7 경기강남대학교

 

김민수(1985)북한의 국어연구서울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김병제(1959)조선어방언학개요() 평양과학원출판사

 

김병제(1965)조선어방언학개요() 평양과학원출판사

 

김병제(1975)조선어방언학개요() 평양과학원출판사

 

김병제(1980)방언사전평양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한국문화사 영인(1995))

 

김병제(1988)조선언어지리학시고평양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김상원(1996)중국에서 쓰이는 조선말 계칭에 대한 사회언어학적고찰」『조선언어문학론문집료녕민족출판사

 

김순희(2014)중국 현대조선어의 문장종결법서울역락

 

김영배 편저(1992)남북한의 방언연구xx경운출판사

 

김영배(1986) 국어의 지역방언(1)북한 방언의 연구에 대하여」『국어생활5 서울국어연구소

 

김영배(1991) 김병제 지은 조선어방언학개요 평설」『한글213서울한글학회

 

김영배(1995)방언접촉의 고찰장태진 국어사회언어학논총서울국학자료원

 

김영황(1982)조선어방언학평양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김영황(1998)조선어방언학(조선어학과용)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1977)조선문화어문법규범평양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동북3조선어문법편찬소조(1983)조선어문법길림연변인민출판사

 

리극로(1932)조선말의 사투리동광(한국학 문헌 연구소 영인(1977))

 

리운규, 심희섭, 안운(1992)조선어방언사전길림연변인민출판사

 

리윤규(1987)우리나라 조선어 방언토에 대하여」『조선어문학 국제토론회 논문집』北京(?)민족출판사

 

박갑수(1997)중국의 조선말과 남북한어의 비교」『이중언어학회지14 서울이중언어학회

 

박경래, 곽충구외(2012)재중 동포 언어 실태 조사(연구 보고서)서울국립국어원

 

박영준(1991)북한의 방언연구사김민수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I서울녹진

 

북경대학 조선문화연구소(1995)언어사』(중국조선민족문화사대계1민족출판사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6)2006 지역언어 조사보고서(강원도 통천군)평양사회과학원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6)2006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황해북도 봉산군)평양사회과학

 

선덕오, 조습, 김순배(1991)조선어방언조사보고길림연변인민출판사 (태학사 영인)

 

심희섭(1990)중국에서의 우리말 연구서울(?)언어문화연구소

 

연변대학 조선어계 조선어교연조,연변교육출판사 조선어문조(1972)조선어문법(형태)길림변교육출판사

 

이기갑(1991) 김병제 지은 조선언어지리학시고 고찰」『한글213 서울한글학회

 

이기갑(2003)국어 방언 문법서울태학사

 

이기동(2001) 북한의 방언구획에 대한 고찰」『한국학연구15 세종(?)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전학석(2005)중국에서의 우리말 방언의 실태 특성」『방언학2 전북한국방언학회

 

전학석(1996)조선어방언학길림연변대학출판사

 

전학석(1998)연변 방언」『새국어생활8-4 서울국립국어연구원

 

전학석(2005)중국에서의 우리말 방언의 실태 특성」『방언학2 전북한국방언학회

 

정용호(1959)단어의 형태부에 첨가되는 []음의 형태-어음론적 특성(함경남도 방언을중심으로)」『선어문4평양

 

정인호(2011)「의문형 종결어미의 방언 분화방언학14 전북한국방언학회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집필조(1985)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료녕민족출판사, 료녕민족출판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집필조(1993)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료녕민족출판사, 료녕민족출판

 

최범훈(1973)북한 언어 연구 서설」『새국어교육1617 서울한국국어교육학회

 

최윤갑(19xx)중국 조선 한국 조선어차이연구(한국문화사 영인(1994))

 

한성우(2009)2009년도 국외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서울국립국어원

 

한영순(1967)조선어방언학평양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한인국(1964)조선어방언학평양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황대화(1986)동해안방언연구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황대화(1998)조선어 동서방언 비교연구평양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한국문화사 영인(1998))

 

황대화(1999)조선어방언연구료녕민족출판사(한국문화사 영인(2000))

 

小倉進平(1944)「朝鮮語方言の硏究」(:資料篇, :硏究篇) 東京:岩波書店(亞細亞文化社 影印(1973))

 

河野六郎(1945)『朝鮮方言學試攷 -鋏語攷-』京城:東都書籍

 

King, J.R.P.(1993) 북한의 방언과 사전」『새국어생활3-4 서울국립국어연구원


②延辺地域語

고홍희(2011)연변지역 조선어 의문법 연구료녕료녕민족출판사

 

곽충구(1997) 연변지역의 함북 길주명천 방언에 대한 조사 연구음운어휘문법 조사 자료-」애산학20 xx애산학회

 

곽충구, 박진혁, 소신애(2008)중국 이주 한민족 언어 생활길림성 회룡봉서울태학사

 

김선희(2013)연변 방언 연구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한민족어문학64 경북한민족어문학회

 

김향화(1999)연변지역 조선어의 청자 대우법 연구대구계명대 석사학위논문

 

김홍실(2003)연변지역어의 마침법씨끝 연구부산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홍실(2003)연변지역어의 서술법씨끝 연구」『문창어문논집 40  xx문창어문학회

 

렴광호(1990)연변의 이중언어사회에 대한 분석」『이중언어학7-1 서울이중언어학회

 

리윤규(1989)연변에서의 조선어방언분포」『조선학연구(1) 길림연변대학출판사

 

배금매(2015)중국 연변지역 가족 담화에 나타난 종결어미에 대한 소고」『방언학21 전북한국방언학회

 

문창덕(1990)연변의 이중언어제에 관한 몇가지 고찰이중언어학7-1이중언어학회 서울이중언어학회

 

박경래(2002)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모국어 사용 실태」『사회언어학10-2 경북? 한국사회언어학

 

박경래(2002)중국 연변 조선족들의 언어태도」『사회언어학10-1경북? 한국사회언어학회

 

박경래(2003)중국 연변 정암촌 방언의 상대높임법」『이중언어학23 서울이중언어학회

 

박홍매(2014)연변 방언 형용사의 형태의미 연구한국어와 대비를 중심으로부산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

 

방채암(2008)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 연구대구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향란(2013)용정 지역 조선어의 세대별 상대높임법과 변화서울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소신애(2004)어간 재구조화의 진행 과정 (1) 훈춘지역 세대별 화자들의 활용 어간의차이를 중심으」『어문연구32서울한국어문교육연구회

 

소신애(2005)어간 재구조화의 진행 과정(2)훈춘 지역 세대별 화자들의 활용 어간의차이를 중심으」『국어45 서울국어학회

 

심희섭, 리윤규(1990)연변에서의 조선어방언 분포」『조선학연구2 길림연변대학출판사

 

엄춘영(2006)연변지역어 연구충남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엄춘영(2010)연변 방언의 조사와 어미 연구충남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오선화(2007)연변지역어의 부정소에 관한 일고찰」『어문연구55 xx어문연구학회

 

오선화(2007)연변지역어의 호격조사에 관한 일고찰방언학6 전북한국방언학회

 

오선화(2012)연변지역어의 종결어미 ‘- 대한 일고찰방언학16 전북한국방언학회

 

오선화, 최성학(2014)연변지역어 간접 인용 '-/() ' 대하여」『방언학20 전북한국방언학회

 

왕한석(1996) 언어생활」『중국 길림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국립민속박물관 학술총서19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

 

이기동(1999)조사의 방언학적 연구함경방언의 연구를 중심으로-」『국어의 격과 조사서울(한국어학회)

 

전학석(1998)연변 방언」『새국어생활 8-4 서울국립국어연구원

 

정향란(2004)중국 연변지역 한국어의 파생접미사 연구인천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향란(2007)삼합지역어의 종결어미에 대하여」『방언학5 전북한국방언학회

 

정향란(2011)중국 용정 지역어의 보조사에 대하여」『중한언어문화연구천진천진사범대학 한국문화연구중심

 

정향란(2011)연변 방언의 곡용과 활용경기한국학술정보

 

천홍희(2011)중국 조선족의 조선어 방언 연구연길 지역 방언의 어휘를 중심으로충남선문대학 석사학위논문

 

채옥자(1999)중국 연변 지역어의 활음화에 대하여」『애산학보23 xx애산학회

 

최화(2010)중국 연변 지역어 처격 조사의 의미 기능에 대한 연구」『인문학연구40광주조선대학 인문학연구소

 

최화(2011)중국 연변 지역어 격조사 교체 현상에 대한 연구부사격조사와 목적격조사의 교체 현상 중심으」『동북아 문화연구27 부산동북아시아문화학회

 

최화(2011)중국 연변 지역어 주격 조사의 식별에 관한 연구」『배달말48 전남배달말학회

 

최화(2011)중국 연변 지역어 격조사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광주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화(2012)기획주제:중국 연변 지역어 반말에 대한 연구배달말51 전남배달말학회

 

최명옥(2000)중국 연변 지역의 한국어 연구한국문화 25 서울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趙習宣德五(1986) 「朝鮮語六鎭話的方言特点」『民族語文』5 北京:中国社会科学出版社


③遼寧省地域語(平安道方言地域)

김홍실(2007)중국 유하지역 평안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 연구방언학5 전북한국방언학회

 

오영순(2006)중국 신빈현 백기 조선족촌 평북방언의 음운론적 연구경북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

 

왕한석(1997)7 언어생활한국문화인류학회, 국립민속박물관()중국 요녕성 한인동포의 활문화(국립민속박물관 학술총서 20) 국립민속박물관

 

원정희, 김봉(1984) 무순지구 조선어방언의 음운적 특성」『중국조선어문길림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이병근, 정인호(2003) 중국 심양 조선어의 특징 문법음운상의 몇몇 특징을 중심으로」『한반도와 만주의 문화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④咸鏡道方言、六鎮方言

곽충구(1986)김태균 함북방언사전(서평)」『국어생활7 서울국어연구소

 

곽충구(1986)노한회화와 함북 경흥방언」『진단학보62 서울진단학회

 

곽충구(1991)함경도 방언 연구의 전개 과정과 전망」『행촌 김영배 선생 회갑기념논총xx경운출판사

 

곽충구(1993)강건하고 질박한 함경도 사람과 그들의 」『통일3월호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곽충구(1998)육진방언의 어휘」『국어 어휘의 기반과 역사경기태학사

 

곽충구(1998)동북, 서북방언」『문법 연구와 자료이익섭선생 회갑기념논총―』경기태학사

 

곽충구(2000)육진방언의 현황과 연구과제」『한국학논집34 서울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곽충구(2000)함북방언의 비자동적 교체 어간과 단일화 방향」『21세기 국어학의 과제서울

 

곽충구(2001) 조선 후기 문헌의 함북방언 어휘」『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경기태학사

 

곽충구(2005)육진방언의 음운변화」『진단학보100서울진단학회

 

곽충구(2008)옛말을 많이 간직한 함경도 방언」『새국어생활17-2서울국립국어원

 

김계곤(1984) 북한지역의 방언함경도 방언의 뿌리」『통일32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김기종(1986) 함경도방언의 주격」『연변대학학보4 길림연변대학

 

김서형(2003)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연구」『어문논집48 서울민족어문학회

 

김춘자(2006)함경남도 삼수지역어 어미의 기저형방언학4  전북한국방언학회

 

김태균(1981)함경북도 종성군 방언(자료)」『경기어문학2 경기경기대학교

 

김태균(1982)함북육읍방언 연구」『경기어문학3 경기경기대

 

김태균(1983)함북방언 조사연구」『우보 전병두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김태균(1985)함북방언 조사연구고문헌에서 찾아볼 있는 함북방언」『한국문화연구2

 

김태균(1986)함북방언사전경기경기대학교 출판부

 

김학수(1961)함경도 방언의 몇가지 특징말과 11 평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과학원출판사

 

남명옥(2011)함북 육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방언학14 전북한국방언학회

 

남명옥(2012)함경북도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연구전남전남대 박사학위논문

 

림광혁(1964)표준말과 사투리중부지방 일부와 륙진방언에서인민교육 6 평양

 

박넬리(1997)육진방언의 특징」『비교문화연구 11-2 서울비교문화연구소

 

배정호(1990)함경도방언 계칭의 사회언어학적고찰」『중국조선어문4 길림길림성민족사무위원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5)2005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함경북도 명천군)평양사회과학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6)2006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함경북도 명천군)평양사회과학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7)2007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함경남도 금야군)평양사회과학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7)2007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함경남도 정평군)평양사회과학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7)2007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함경북도 경원군)평양사회과학

 

소신애(2007)언어 변화 기제로서의 과도교정20세기초 함북방언을 중심으로-」『어문연구35 서울한국어문교육연구회

 

오선화(2008)함경도 방언의 담화 표지 고찰방언학8 전북한국방언학회

 

이기동(1997)북한의 함경방언 연구에 대한 고찰」『인문대논집 16 서울(?)고려대학교

 

이영철(2005)함북방언(길주지방) 연구서울예진문화사

 

이춘영(2004)함북 명천 방언의 불규칙 활용 연구서울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학석(1988)함경남도 방언연구 평양교육도서출판사

 

정원석, 서윤환(2010)함흥지방 방언집경기한국어린이문화연구소

 

정용호(1964)함경남도 방언에서의 절대격의 특성」『조선어학2 不明

 

정용호(1988)함경도 방언연구평양교육도서출판사

 

최용린(1980) 함경도방언에 대하여조선어문통신 4 不明

 

최명옥, 곽충구, 배주채, 전학석(2002)함북 북부지역어 연구서울태학사

 

한두복(1962) 륙진 방언 연구(개요)」『조선어학2  평양

 

한진건(1997)육진방언의 특성에 대한 연구」『코리아학연구(6) 北京:민족출판사

 

한진건(2000)륙진방언 연구북경민족출판사

 

황대화(1986)동해안방언연구평양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황대화(1991)함북 륙진방언의 경어연구」『조선언어문학론문집』北京:민족출판사

 

황대화(1992)륙진방언연구높임의 알림토 꾸마, 꿔니, ㅁ니, ㅂ데 형성에 대하여」『조선학연흑룡흑룡강성조선민족출판사

 

황대화(1992)함경도방언의 개음절현상에 대하여4 조선학 국제학술토론회 논문개요

 

황대화(2011)1960년대 육진 방언 연구(자료편)서울역락

 

小倉進平(1917)「京元咸鏡鐵道沿線方言」『朝鮮敎育硏究會雜誌20京城:朝鮮教育研究會

 

小倉進平(1920)「咸興地方の方言」『朝鮮敎育硏究會雜誌』62 京城:朝鮮教育研究會

 

小倉進平(1927)「咸鏡南北道方言」『朝鮮語』2  京城:朝鮮語硏究會

 

小倉進平(1930)「咸鏡南道及び黃海道の方言 硏究」『京城帝大法大學部硏究調査冊子』 No.2 京城:京城帝大法大學部硏究調査冊子

 

小倉進平(1931)「六十年前の咸鏡方言」(抜刷)

 

小倉進平(1932)「北部朝鮮方言中活用語の語尾に存する及び」『文教の朝鮮』87 京城:朝鮮教育 

 

田島泰秀(1918)「咸北方言の訛化」『朝鮮敎育硏究會雜誌』2 京城:朝鮮教育研究會


⑤平安道方言

김계곤(1984)북한지역의 방언평안도 방언의 내력」『통일33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김계곤(1984)북한지역의 방언평안도 방언의 어휘」『통일34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김영배(1969)평안방언과 구개음화」『동악어문논집6서울동국대학교

 

김영배(1973)평안방언의 듣다[] 대하여」『무애 양주동 박사 고희기념논문집

 

김영배(1976)평안방언 연구(자료편)」『논문집5 경남선명여자대학교

 

김영배(1976)평안방언연구서설」『김성배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김영배(1977)평안방언연구개관」『하서 김종우 박사 환갑기념논총

 

김영배(1978)평안방언의 구상(舊相)」」『동악어문논집11서울동국대학교

 

김영배(1978)평안방언의 비구개음화」『한글161서울한글학회

 

김영배(1979)평안방언의 형태론적 고찰」『성곡논총10 xx성곡학술재단

 

김영배(1979)평안함경방언 연구에 대한 검토」『방언1 경기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영배(1980)고구려어와 평안방언」『한국방언학1 전북한국방언학회

 

김영배(1980)어휘통계학상으로 평안방언과 함경방언」『연암 현평효 박사 회갑기념 논총형설출판사

 

김영배(1984)평안방언의 의문형 종결어미」『새결 박태권 선생 회갑기념논총

 

김영배(1984)평안방언연구서울동국대출판부

 

김영배(1985) ㄷ구개음화 재고평안방언의 비구개음화」『국어학논총(소당 천시권 박사 화갑기념논문집) 설출판사

 

김영배(1987)살려 쓰고 싶은 고장 사투리평안도 방언을 중심으로」『국어생활8서울국어연구소

 

김영배(1987)평안방언과 함경방언의 경계」『이병선 박사 회갑기념논총

 

김영배(1987)평안방언의 몇몇 어휘에 대하여」『논문집24 부산부산대학교

 

김영배(1989)평안방언의 주격 /-/ 대하여」『이종출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김영배(1992) 북한의 방언사전에서 평북 영변지역어」『청하 김형수 박사 회갑기념논총형설출판

 

김영배(1992)북한의 방언사전에서 평북 영변지역어」『동국어문논집5 서울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영배(1992)평안방언의 연구 현황과 과제」『남북한의 방언 연구xx경운출판사

 

김영배(1997)「方言集(1937) 평안방언에 대하여」『국어학 연구의 지평(성재 이돈주 선생 화갑기념) 태학사

 

김영배(1997)증보 평안방언연구경기태학사

 

김영배(1997)평안방언연구(자료편) 경기태학사

 

김이협(1973)평안사투리 소사전평안북도지편찬위원회 (1973)평안북도지평안북도지편찬위원회

 

김이협(1980)평북방언 한자 발음」『방언3 경기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이협(1981)평북방언사전경기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형규(1974)「平安道方言」『韓國方言研究(下)』서울서울大學校出版部

 

김홍실(2007a)중국 유하지역 평안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 연구」『방언학5 한국방언학회

 

김홍실(2007b)평안도 방언의 의문법 종결어미 연구」『한말연구21 한말연구학회

 

김홍실(2009)평북 초산 지역어의 종결 어미 연구서울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리근용(2005)문화어 보급침투에 의한 평안도방언의 소극화과정에 대한 연구???학사학위논문

 

박정남(1983)평북 정주지방의 방언 연구서울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화염(2007)평안도 방언 연구중국 길림성 통화지역을 중심으로인천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5)2005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평안남도 룡강군)평양사회과학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6)2006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평안북도 선천군)평양사회과학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2006)2006 지역언어 조사보고서(평안북도 운전군)평양사회과학

 

유창돈(1957)평북어 산고」『일석 이희승선생송수기념논총

 

윤매령(2013)평북 초산 지역어의 불규칙 활용에 대한 연구서울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기문(1984)김이협 편저 평안방언사전」『방언7 경기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의향(2008) 평북 철산지역어 어미의 공시형태론어미의 기저형 설정을 중심으로―」『한국언어문학 65 xx:한국언어문학회

 

정의향(2008) 평북 철산지역어 어미의 공시형태론 어미의 기저형 설정을 중심으로」『한국언어문 65 한국언어문학회

 

정의향(2010)평북 철산 지역어의 접미파생법 연구서울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인호(2003)평북방언에서의 , 음변화, 한국문화 31 서울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정인호(2009)이숭녕 선생 소장 평북방언 자료에 대하여」『방언학9 전북한국방언학회

 

최명옥(1987)평북 의주지역어의 통시음운론모음체계의 재구와 변화를 중심으로」『어학연구23-1 서울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최명옥(2011)평안북도 운전 지역어의 서법에 대하여」『방언학11 전북한국방언학회

 

최학근(1980)평안도방언연구 (其一)」『방언학1 전북한국방언학회

 

최학근(1982)평안도방언연구」『한국방언학경기태학사

 

평안남도지편찬위원회 (1977)평안 남도지평안남도지편찬위원회

 

한영순(1956a)평안북도 의주 피현 지방 방언의 어음론적 특성()」『조선어문4

 

한영순(1956b)평안북도 의주 피현 지방 방언의 어음론적 특성()」『조선어문5

 

현정해(1994) 평남 개천방언 연구충남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대화(2008)「平安道西海岸方言 指稱語, 呼稱語硏究」『語文硏究』36-2 xx:한국어문교육연구회

 

小倉進平(1929)「平安南北道の方言」『京城帝大法文學部硏究調査冊子』1 京城:京城帝大法文學部


海道方言

곽충구(1992)황해도 방언의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남북한의 방언 연구xx경운출판사

 

곽충구(1993)황해도 사람과 그들의 」『통일4월호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김계곤(1984) 북한지역의 방언황해도의 방언 어휘」『통일35 서울민족통일중앙협의회

 

최봉문(1989)웃음주머니 황해도 사투리 톰바리」『문화어학습 1 평양사회과학출판사

 

황대화(2004)황해도 방언의 알림법 말차림에 대하여」『중국조선어문133 길림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황대화(2007)황해도방언연구서울한국문화사

 

小倉進平(1914)「西部黃海道 方言 硏究」『朝鮮敎育硏究會雜誌』4月號 京城:朝鮮敎育硏究會


⑦東北方言

곽충구(1998) 동북 방언」『새국어생활8-4 서울국립국어연구원

 

곽충구(1998)동북, 서북방언」『문법 연구와 자료이익섭선생 회갑기념논총―』태학사

 

곽충구(2007)동북방언의 어휘」『방언학5 전북한국방언학회

 

곽충구(2013) 동북방언 'X//-' 형용사의 음운론과 형태론」『국어학67 서울국어학회

 

림광혁(1964)표준말과 사투리동북지방에서(1)」『인민교육4 평양

 

림광혁(1964)표준말과 사투리동북지방에서(2)」『인민교육5 평양

 

이병근, 정인호(1999) 중국 조선어 방언 조사」「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⑧西北方言

곽충구(1998) 동북서북방언문법 연구와 자료(이익섭 선생 회갑기념논총) 경기태학사

 

김영배(1998)서북방언」『새국어생활8-4 서울국립국어연구원

 

방린봉(2003)서북방언분포지역과 조사지점에 대한 연구보고」『민족고유어의 통일적 발전과 방언조사연구서울국립국어연구원

 

방언연구회 (2001)방언학사전경기태학사

 

정의향(2008)서북방언의 어미 ‘-/(Y)’교체의 실현양상에 대하여철산지역어 자료를 중심으로」『방언7 전북한국방언학회

 

최명옥(1985a)19세기 후기 서북방언의 음운론평북 의주지방어를 중심으로―」『인문연구7-4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최명옥(1985b)「西北方言 文敍述語미에 대한 形態論的硏究」『방언8  경기한국정신문화연구